1.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
1969년 9월부터 [현대문학]에 연재되기 시작한 토지는 1994년까지 25년 동안 집필된 20권의 대하소설이다. 이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1897년에서 1945년까지 약 50년간이며 공간적으로는 하동 평사리에서 북으로는 만주 일대와 남으로는 일본 동경 등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 근대화의 진행과정에서 한. 중. 일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서사 내에 끌어들이고 있다. 또한 거의 600여 명에 달하는 이들은 평사리를 중심으로 3세대에 걸쳐 확대된 관계를 통해 그려진다.
2. 최참판댁 설립 배경
1987년, 광복 42주년을 맞아 KBS에서 박경리 선생을 직접 찾아뵙고 집필 중인 '토지'를 드라마로 제작하고 싶다고 제안을 하였다. 하지만 당시는 탈고되지 않은 작품이라 거절하였는데도 방송국의 끈질긴 노력으로 마침내 대하드라마 토지가 인기리에 방영되었다. (주일청 연출, 최수지 주연, 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토지 드라마 방영 이후 악양면 평사리에는 많은 시청자들과 독자들이 찾아들기 시작했지만 지리산과 섬진강. 평사리 들판 외에 정작 평사리에는 '최참판댁'은 없었다.
이에 하동군의 한 공무원이 '최참팬댁 건립'을 제안하였고, IMF로 매우 어려운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당시 경상남도 하동군수의 적극적인 노력의 결과, 도지사의 특별한 배려로 최참판댁 건립이 종잣돈이라 할 수 있는 도비 10억 원을 지원받게 되어 1998년 마침내 소설 토지의 최참판댁이 현실세계로 나오게 되었다.
소설 '토지'는 TV 드라마로 인한 영상매체가 만나서 미술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토지 완간 이후 첫 드라마인 SBS 대하드라마 토지 52부 (이종한 연출, 김현주 주연, 2004년 11월 21일 ~ 2005년 05월 22일) 방영으로 최참판댁 한옥 14동은 물론 용이네, 칠성네 등 초가 세트장 50 여동이 설치되어 평사리는 단순한 문학작품의 배경지를 넘어 대한민국의 관광메카가 되었다. 특히 박경리 문학관을 건립하며 박경리 선생의 3대 보물(재봉틀, 국어사전, 소목장)을 비롯한 도서, 사전, 유품 등을 박경리 선생의 따님인 김영주 원주 토지문학관 이사장과 협의하여 상설 전시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평사리 문학관은 "문학&생명관"으로 새롭게 단장하고 최참판댁 바깥마당 확장, 박경리 동상 제막 한옥호텔 4동은 신축함으로써 그야말로 자연을 느끼며 하룻밤 묵어가는 휴양과 힐링 장소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평사리'최참판댁'은 연간 100만 명이 찾는 대한민국 명소이다. 이는 전적으로 우리 시대 큰 작가 방경리 선생 소설 '토지'의 힘이지만, 행정과 문인들이 마음을 모아 문학작품을 문화와 관광의 콘텐츠로 함께 엮어내고 이곳에 대대로 터 잡고 살아가는 평사리 마을주민들이 만들어 낸 스토리텔링의 대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3. 최참판댁 가옥 구성
1) 문간채 : 외부로 나 있는 다른 대문으로 농사를 짓는 소작인 또는 우, 마가 출입하는 문으로 마구간, 외양간 등이 붙어 있음
2) 중문채 : 안채의 부속건물로 사용된 중문채는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중문채에는 쌀광과 김치광 장작광 등이 딸려 있으며 소규모의 곡식을 도정할 수 있는 디딜방아를 설치하기도 했다.
3) 별당채 : 안채의 곁이나 뒤에 따로 떨어지게 지은 집 (최참판의 아내이자 최서희의 어머니인 별당아씨가 머물었던 곳)
4) 안채 : 집안의 주인마님을 비롯한 여성들의 주된 생활공간 (최참판의 어머니인 윤 씨 부인이 거주하던 곳)
5) 사당 : 조상의 신주나 초상화를 모셔 놓고 제사를 지내는 곳
6) 사랑채 :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공간
7) 초당 : 바깥주인의 휴양 및 사교의 장, 짚이나 억새로 지붕을 이은 조그마한 집채
8) 솟을대문 :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공간
9) 뒤채 : 안채 뒤쪽에 마련된 집채
10) 행랑채 : 하인들이 기거하거나 곡식 등을 저장해 두는 곳
4. 최참판댁 관람 안내
매표소 :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길 35 (TEL:055-880-2960)
운영시간 : 09:00 ~18:00 (매일)
입장료 : 성인 2000원(단체 1500원), 청소년 1500원(단체 1000원), 어린이 1000원, 군인 1500원 (복지카드 소지 장애인과 국가유공자는 무료, 단체는 20명 이상)
주차 : 무료